• Scientific Feasibility on the Risk-Based Clean-up and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 Shin, Won-Sik;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위해성" 개념을 이용한 오염지역 정화 및 관리의 과학적 타당성
  • 신원식;
  • 경북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In the last decades, the decrease in biological or chemical availability of sorbed contaminants as contact time passed, is generally accepted. This phenomenon so called as "aging" or "sequestration" is known to directly affect risk of the contaminats. This was observed for mainly for hydrophobic organic contaminants (HOCs), but also reported for heavy metals. Aging is known to be directly related to sorption-desorption hysteresis, irreversible sorption, desorption-resistance, nonequilibrium sorption, etc. The decrease in bioavailability due to aging or sequestration indicates realistic decrease in risk potential. Recently a risk-based management concept by scientific evidences but not the simple measurement of contaminant concentration has been attempted to determine environmentally acceptable remedial endpoint. This is because selection of remedial endpoint based on not total concentration but the bioavailability and toxicity of contaminants can reduce both the treatment cost and remedial activities of the contaminated sites. The bioavailability and toxicity of the residual contaminants are highly affected by the fate and transport and also directly affect the exposure pathways and bioaccumulation of contaminants in the living biota. In this paper, scientific feasibility on the risk-based clean-up and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is reviewed.

지난 수십년 동안 토양내 수착된 오염물질이 접촉시간(contact time)이 경과함에 따라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이용성의 감소는 일반적으로 인식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은 aging 또는 격리(sequestration)라 불리는 현상이 위해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은 소수성 오염물질을 중심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중금속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현상이 발견되고 있으며, 이는 오염물질의 흡-탈착 이력(hysteresis) 현상, 비가역 흡착, 탈착저항성, 비평형 흡착 등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Aging 또는 sequestration에 의한 오염물질의 생이용성(bioavailability)의 감소는 인체에 대한 실질적인 위해성의 감소를 의미한다. 최근 들어 이와 같은 과학적인 증거를 토대로 단순한 오염물질의 농도 측정이 아니라 위해성에 근거한 오염 복원(또는 관리)의 개념이 도입되어 환경친화적인 복원수준의 선정에 적용하고 있다. 이는 토양내 오염물질의 총농도가 아니라 오염물질의 생이용성 또는 독성을 기준으로 하여 정화수준을 결정함으로써 오염부지의 처리비용과 노력의 절감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토양내 잔류오염물질의 생이용성 또는 독성은 오염물질의 이동 또는 거동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결국 생물체로의 노출 경로와 생체축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토양내 오염물질의 위해성을 평가하여 토양오염복원에 적용시 과학적인 타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Keywords: Aging;Bioavailability;Desorption;Environmentally acceptable remedial endpoint;Risk assessment;Sequestration;Soil;Sorption;

Keywords: 생이용성;탈착;위해성 평가;토양;흡착;환경친화적인 복원 수준;

This Article

  • 2007; 12(1): 1-35

    Published on Feb 28, 2007

Correspondence to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