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timation of Groundwater Flow Rate into Jikri Tunnel Using Groundwater Fluctuation Data and Modeling
  • Lee, Jeong-Hwan;Hamm, Se-Yeong;Cheong, Jae-Yeol;Jeong, Jae-Hyeong;Kim, Nam-Hoon;Kim, Ki-Seok;Jeon, Hang-Tak;
  •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Dowha Consulting Engineers Co., Ltd.;Heesong Geotek Co., Ltd.;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지하수 변동자료와 모델링을 이용한 직리터널의 지하수 유출량 평가
  • 이정환;함세영;정재열;정재형;김남훈;김기석;전항탁;
  •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부;(주)도하종합기술공사 지반공학부;(주)희송지오텍;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Abstract
In general, understanding groundwater flow in fractured bedrock is critical during tunnel and underground cavern construction. In that case, borehole data may be useful to examine groundwater flow properties of the fractured bedrock from pre-excavation until completion stages, yet sufficient borehole data is not often available to acquire. This study evaluated groundwater discharge rate into Jikri tunnel in Gyeonggi province using hydraulic parameters, groundwater level data in the later stage of tunneling,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data, an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data. Groundwater flow rate into the tunnel by means of analytical method was estimated $7.12-74.4\;m^3/day/m$ while the groundwater flow rate was determined as $64.8\;m^3/day/m$ by means of numerical modeling. The estimated values provided by the numerical modeling may be more logical than those of the analytical method because the numerical modeling could take into account spatial variation of hydraulic parameters that was not possible by using the analytical method. Transient modeling for a period of one year from the tunnel completion resulted in the recovery of pre-excavation groundwater level.

일반적으로 균열 암반 내 지하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터널 굴착과 지하 동굴 건설시 중요한 사안이다. 이런 경우에 굴착이전부터 굴착완료까지의 시추공 자료는 균열암반 내 지하수 유동 변화를 고찰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 그러나 충분한 시추공 자료가 여의치 않은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경기도 광주시 직리터널 지역에 대해 수리상수, 터널 굴착 후기의 지하수 모니터링 자료, 국가지하수관측망 자료, 전기비저항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직리터널 건설로 인한 지하수 유출량을 평가하였다. 해석학적 방법에 의해 계산된 지하수 유출량은 $7.12{\sim}74.4\;m^3/day/m$이었으며, 수치 모델링을 이용하여 산출된 지하수 유출량은 $64.8\;m^3/day/m$이다. 두가지 모델을 비교할 때, 수치 모델링에서는 공간적인 수리상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반면에 해석학적 방법으로는 이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수치 모델링에 의한 지하수 유출량이 더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수치 모델링에 의하면 터널 건설이 완료되고 약 1년 후에는 하강되었던 지하수위가 터널 굴착이전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모사되었다.

Keywords: Jikri tunnel;Groundwater level;Groundwater flow rate;Numerical modeling;Analytical method;

Keywords: 직리터널;지하수위;지하수 유출량;수치 모델링;해석학적 방법;

This Article

  • 2009; 14(5): 29-40

    Published on Oct 31, 2009

Correspondence to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