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고일원, 이철효, 이광표, 김경웅, 2004, 토양세척에 의한 비소 및 중금속 오염토양의 복원,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9(4), 52-61.
4. 김효식, 최상일, 2008, 사격장 납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토양세척시 HCI과 EDTA의 영향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13(1), 60-66.
5. 과학기술부, 2000, 오염물질 지중 이동최소화 기술.
6. 박익범, 김구환, 이진경, 김동기, 문희천, 허종원, 김지형, 2006, 국내 및 외국의 토양복원 기술개발의 동향분석에 관한 연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보, 115-119.
7. 서상기, 이상화, 손정호, 장윤영, 2008, 폐광산 주변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실규모 토양세척공정 적용,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9(4), 52-61.
8. 산업연구원, 2004, 환경산업기초분석.
9. 이민희, 이정산, 차종철, 최정찬, 이정민, 2004, 토양세척법과 석회를 첨가한 토양 안정화 공법을 이용한 폐광산 주변 비소 오염 토양 및 하천 퇴적토 복원, 자원환경지질, 37(1), 121-131.
10. 중국인민공화국국가표준방법 (GB/T 1555.4-1995).
11. 전철민, 김재곤, 문희수, 2003, 흑운모 및 황철석에 의한 6가 크롬의 환원 반응속도와 반응기작, 자원환경지질, 36(1), 39-48.
12.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편, 2003, 토양환경공학, 향문사.
13. 황정성, 최상입, 장민, 2004, 비소로 오염된 토양에 대한 토양세척기법의 적용성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학회지, 9(1), 104-111.
14. Amacher, M.C. and Selim, H. M., 1994, Mathematical models to evaluate retention and transport of chromium(VI) in soil, Ecol. Model, 74, 205-230.
15. Bartlett, R.J. and James, B.R, 1998, Mobility and bioaviavailability of chromium in soil:In Nriagu, J.O and Nieboer, E. eds., Chromium in nature and human environment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267-304.
16. Chirwa, E.M.N. and Wang, Y.T., 1997, Hexavalent chromium reduction by Bacillus sp. in a packed-bed bioremactor, Environ. Sci. Technol., 31, 1446-1451.
17. EPA (US), 1999, An in situ permeable reactive vbarrier for the treatment of hexavalent chromium and trichloroethylene in ground water, v2 Performance monitoring, EPA, 600, R99.
18. EPA (US), 2004, Bioremediation of Aresenic, Chromium, Lead, and Mercury.
19. Ministry of Environmentry of Korea, 2000, Na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Act.
20. MOCT, Kwater, KlGAM, 2005, Research report on measure for worry area of contaminated ground water.
21. National Ini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1999.
22. Palmer, C.D. and Plus, R.w., 1994, Natural attenuation of hexavelentchromium in groundwater and soils, EPA, 540.
23. Wang, Y.T. and Shen, H., 1995, Bacterial reduction of hexavalent chromium, J. Ind. Microbiol., 14, 159-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