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boratory-scale two-dimensional aquifer physical model studie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air injection rate and air injection pattern on the removal of disel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by air/bio-sparg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represented that the optimal conditions in this experiment were as air injection rate of 1,000 ml/min and pulsed air injection pattern(15 min on/off). The results of the TPH reduction, DO consumption and
CO2 production indicate the effective biodegradation evidence of diesel. Based on our results, The minimal
O2 supply and pulsed air injection pattern could effectively enhance the diesel removal and the pulsing air injection had effect on oxygenation in this system. Thus, the cost of operating air/bio-sparging system will be reduced if optimal air injection rate and pulsed air injection pattern are applied to remediate contaminants.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 규모의 2D air/bio-sparging 장치를 이용하여 공기주입량과 공기주입방식이 디젤오염 토양/지하수의 복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최적 조건을 도출하였다. 최적의 공기주입량과 공기주입방식은 1,000 ml/min의 공기주입과 15 min 간격의 간헐적인 공기주입 패턴이 효율적으로 관찰되었고, 실험기간동안 TPH와 DO 감소,
CO2 생성은 오염원인 디젤이 효과적으로 생분해에 의해 제거가 이루어지고 있음 보여주었다. 즉, 최소한의 공기주입으로도 포화층에서의 디젤 분해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었으며, 간헐적인 공기주입방식은 대수층내에서의 공기 전달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또한 Air/bio-sparging공법의 대부분의 운전비가 blower와 off-gas 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력비라는 것을 감안 할 때, 최적의 공기주입량과 간헐적인 공기주입방식은 운전비 절감의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ir/Bio-sparging;Diesel;Air injection rate;Air injection Pattern;
Keywords: 공기주입정화법;디젤;공기주입량;공기주입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