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Oedocheon Watershed in Jeju Island
  • Ha, Kyoo-Chul;Moon, Deok-Cheol;Koh, Ki-Won;Park, Ki-Hwa;
  • Groundwater & Geothermal Resource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 Envirionment,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 Envirionment,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Groundwater & Geothermal Resource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 제주도 외도천유역의 유출특성
  • 하규철;문덕철;고기원;박기화;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제주특별자치도 환경자원연구원;제주특별자치도 환경자원연구원;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Abstract
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Oedocheon in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using the long-term stream stage monitoring data. At the Cheonah valley in the upstream area and Oedocheon downstream, annual runoff occurred 21 and 12 times, respectively, and their average runoff periods were 21 days and 12 days, respectively. Stream stage response time to rainfall was 4 hours, and storm-water transfer from the upstream, Cheonah valley, to the Oedocheon downstream took about 2 hours. The stream discharge measurements had been carried out from Feb. 2004 to Jul. 2005, and showed that normal discharge of the Oedocheon was 0.39 $m^3$/sec in average. Stage-discharge curves were developed to estimate base flow (normal discharge) and (direct) surface runoff. The base flow separations by a numerical filtering technique illustrated that annual surface runoff and base flow accounted respectively for 31.8${\sim}$36.5%, 63.5${\sim}$68.2% of the total stream discharge.

제주도의 물관리나 지하수 함양량 산정에 있어서 직접유출량 평가는 유용하게 사용되어 진다. 외도천 유역의 상류지역인 천아계곡과 하류지점에서의 장기 수위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유출빈도를 분석한 결과, 년간 발생하는 유출 발생빈도는 천아계곡에서는 약 21회, 외도천 하류에서 약 12회였다. 유출지속시간을 고려하면 년간 유출을 관측할 수 있는 기간이 천아계곡에서는 21일, 외도천 하류에서는 12일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차상관분석에 의하여 강우에 대한 수위반응은 약 4시간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유출이 발생했을 때 천아계곡으로부터 외도천 하류지점까지 수위 전파시간은 약 2시간이었다. 외도천 하류지점에서 유량측정결과, 상시 유출량은 평균 0.39 $m^3$/sec였으며, 기저유출과(직접) 유출량을 평가하기 위해 수위-유량곡선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수위-유량곡선을 이용하여 수위를 시간에 따른 총유출량으로 산정하였다. 수치필터링기법에 의한 총유출량을 기저유출량과 직접유출량으로 분리 낸 결과, 년간 총 하천유량 중 31.8${\sim}$36.5% 정도를 직접유출이 기여하고 있으며 63.5${\sim}$68.2% 정도는 기저 유출이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Jeju island;Oedocheon;Runoff characteristics;Runoff frequency;Base flow separation;

Keywords: 제주도;외도천;유출빈도;유출특성;기저유출분리;

References
  • 1. 김미령, 2003, 제주도 하천의 하계망 분석,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p. 66
  •  
  • 2. 문덕철, 2004, 제주도 주요하천의 기저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토목해양공학과, 석사학위논문, p. 79
  •  
  • 3. 선우중호, 1996, 수문학, 동명사, 제4판, p. 396
  •  
  • 4. 윤정수, 박상운, 1998, 제주도 용천수의 수리화학적 특성, 지하수환경, 5(2), 66-79
  •  
  • 5. 윤태훈, 1998, 응용수문학, 청문각, p. 924
  •  
  • 6. 제주도, 2004, 2004 환경백서, p. 396
  •  
  • 7. 제주도, 한국수자원공사, 2003, 제주도 수문지질 및 지하수 자원종합조사(III), p. 411
  •  
  • 8. 하규철, 문덕철, 박기화, 2008, 제주도 하천의 유출특성 및 수질변동 특성, 제주의 물. 세계의 물 제주의 자산, 제7회제주지하수 학술세미나자료집, Part 3, 제주특별자치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 1-21
  •  
  • 9. 하규철, 조성현, 김영식, 조민조, 2007, 산림지역에서의 지하수하천유출량 평가, 2007년 춘계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대한지질공학회, 대한지질학회, 한국석유지질학회, 591-593
  •  
  • 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주도, 2005, 제주도 지하수 부존 특성에 대한 지구과학적 해석, p. 231
  •  
  • 11. Nathan, R.J. and McMahon, T.A., 1990, Evaluation of automated techniques for base flow and recession analysis, Water Resour Res., 26(7), 1465-1473
  •  
  • 12. Fetter, C.W., 1988, Applied Hydrogeology, 2nd Edition, Merrill, Columbus, OH, p. 592
  •  
  • 13. Larocque, M., Mangin, A., Razack, M., and Banton, O., 1998, Contribution of correlation and spectral analysis to the regional study of a large karst aquifer (Charente, France), J. Hydrol., 205, 217-231
  •  
  • 14. Rutledge, A.T., 1998, Computer programs for describing the recession of ground-water discharge and for estimating mean ground-water recharge and discharge from streamflow data-update: U.S. Geological Survey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Report 98-4148, p. 43
  •  

This Article

  • 2008; 13(5): 20-32

    Published on Oct 31, 2008